본문 바로가기
Better than before/My tennis

낮은 토스 극복해보자(let's improve the low toss)

by 미끄럼방지스티커 2023. 11. 4.
반응형

 테니스  토스(toss) 리듬 찾기


 

테니스 게임을 대하는 태도로 보자면  단연 서브가 아닐까 싶습니다. 서브를 신중하게 넣고 집중력 있게 하는 사람들은 대부분 게임을 잘 풀어나가는 모습을 보이더라고요. 물론 제 의견입니다,

 

어제 테니스모임에서 몹쓸 테니스를 하고 말았습니다. 승률이 좋았지만 아직도 개선하지 못한 서브가 자꾸 발목을 잡으니 저의 모든 플레이가 맘에 들지 않네요.

 

그래서  테니스 서브 동영상을 찾아보다가 내 짧은 토스를 해결함과 동시에 라켓이 충분히 드롭 될 시간을 줄 수 있는 마법의 트리거 단어를 찾았습니다. 물론 저에게만 속할 수 있겠습니다만, 그것은 바로 action, reaction

하늘쌤 유튜브 캡쳐

 

문제점

일단 문제점을 알아보겠습니다.

저의 서브에서는 충분히 드랍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action자체가 없다고 생각되는데요.

하늘쌤이 전달해 준 action - reaction - hit the ball 이 단계를 생각해 보면,   reaction도 없는 오직 hit the ball만 있는 것 같습니다. reaction은 action에서 충분히 모양을 만들어내줘야  reaction 동작으로 가면서 자연스럽게 에너지를 전달해 줄 수가 있기 때문이죠. 

 

또 다른 문제점은 가속화구간이 필요한데 저의 모션에서는 서브 라켓 가속화 구간이 전혀 없다는 게 문제입니다.

어떻게 생각해 보면 action - reaction - hit the ball 이 부분에서 유연성이 떨어지는 부분을 제외하고는 라켓이 특정 부분에서 가속화된다면 자연스럽게 생기는 모습이 아닐까 싶기도 한데.. 정말 이론적으로 설명을 되지만 몸에서 반응을 하지 않기에 더더 욱 어렵네요

 

가속화가 없다는 건 평소 내가 갖고 있는 몸의 리듬자체가 센스가 없다는 것이기도 하며, 있다 해도 리듬이 느리다는  이유기도 할 겁니다. 그래서 이번에는 연습 빼고 머릿속에 박자를 통한 리듬감만 익혀서 입력 후 실제 서브 시 어떻게 적용되는지, 리듬감 극복만으로 서브개선이 될 수 있을지 제가 몸소 체험해 보려고요. 

 

결론

낮은 토스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리듬감을 찾아야 하는데 모션연습 말고 서브 리듬감을 많이 익혀 적용해 보기로 했습니다.

좋은 리듬을 갖고 있다는 건 좋은 토스를 갖고 있다는 의미이기도 합니다. 여러 동영상을 찾아보아도 자기 토스높이를 찾고 그 안에서 자기만의 스타일을 찾아야 한다는 건 서브 시에 안정적인 리듬이 꼭 필요하다는 내용인 것 같아요. 상당히 뇌피셜이기도 하지만 합리적이기도 하지 않나 싶네요. 취미 생활을 발전시키기 위한 거니깐 한번 믿고 진행 보겠습니다.

그동안 잘못된 동작으로 인한 서브의 오류를 단순히 리듬감의 변화만으로 해결될 수 있을지 상당히 기대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