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Medical Information

2월 출생아수 : 2024년 2월, 역대 최소 출생아 및 최대 사망자 기록 - 인구 자연감소의 지속

by 미끄럼방지스티커 2024. 4. 24.
반응형

 


2월 출생아수 :
2024년 2월, 역대 최소 출생아 및 최대 사망자 기록 - 인구 자연감소의 지속



2024년 2월 출생아수 한국의 인구 동향이 역대 최소 출생아와 최대 사망자 수를 기록하며, 인구 자연감소 현상이 52개월째 지속되고 있습니다. 2월 출생아수를 보게 되면 앞으로의 예측 가능한 미래가 그려지는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2월 출생아수의 통계와 그 배경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그리고, 2월 출생아수가 앞으로 우리 사회에 미칠 영향에 대해서도 함께 고민해보고자 합니다.


1. 출생아 수: 역대 최저치 기록

  • 2024년 2월 출생아 수는 1만 9362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3.3%(658명) 감소하며 역대 2월 기준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1981년 이후 가장 낮은 수치로, 출생아 수 감소 추세가 지속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지난해에 이어 올해도 출생아 수가 감소하며 2월 기준 처음으로 2만명대 아래로 내려갔습니다.

2. 사망자 수: 역대 최고치 기록

  • 반면, 같은 달 사망자 수는 2만 9977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9.6%(2619명) 늘어나며 2월 기준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습니다. 고령화의 영향과 윤달로 인해 2월 일수가 하루 늘어난 것이 사망자 수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됩니다.

3. 인구 자연감소 지속

  • 이로 인해 2월 한 달 동안 인구는 총 1만 614명이 자연감소했습니다. 인구 자연감소는 2019년 11월 이후 52개월째 이어지고 있으며, 대부분의 시도에서 인구 자연감소가 일어났습니다. 단, 세종시는 171명이 증가하며 예외를 보였습니다.

4. 혼인과 이혼 현황

  • 2월 혼인 건수는 1만 6949건으로 전년 동월 대비 5%(896건) 감소했습니다. 같은 달 이혼은 7354건으로 1.8%(128건) 늘어났습니다. 이는 혼인신고가 가능한 일수가 평월 대비 하루 적어진 영향으로 분석됩니다.

5. 국내 인구이동 현황

  • 2024년 3월 국내인구이동 통계에 따르면, 이동자 수는 56만 3000명으로 전년 동월 대비 4.4% 감소했습니다. 그러나 1분기(1~3월) 기준 이동자 수는 181만 5000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5.7%(9만 7000명) 늘어났습니다.

 


이러한 인구 동향은 한국 사회에 여러 가지 도전 과제를 제시합니다. 출생아 수의 지속적인 감소와 고령화로 인한 사망자 수 증가는 노동력 부족, 경제 성장 둔화, 사회복지 비용 증가 등 다양한 문제점들을 야기하고 있습니다. 

이에 정부와 사회가 장기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여 대응해야 하는 시급함을 나타냅니다. 예를 들어, 저출산 문제에 대응하기 위해 가족 친화적인 정책, 출산 및 양육 지원 강화 등이 필요합니다. 동시에 고령화 사회에서 노동력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고령자 고용 촉진, 생산성 향상을 위한 기술 개발 및 교육 시스템 개선 등의 조치가 요구됩니다. 

이와 더불어, 사회복지 비용 증가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지속 가능한 복지 시스템의 구축이 중요하며, 이는 세대 간 공정성을 보장하고 재정 건전성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합니다. 결국, 이러한 인구 동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국가와 사회 구성원 모두의 적극적인 관심과 협력이 필수적입니다.

 

2024년 한국 출산율, 사상 최저치에 도달하다 (저출산 고령화 관련 정책)

2024년 한국 출산율, 사상 최저치에 도달하다저출산 고령화 관련 정책안녕하세요, 오늘 이야기할 주제는 한국의 저출산 문제에 대한 것입니다. 국내에서 저출산은 오랜 기간 동안 다루어진 문제

heisenbugfifty.tistory.com

 

집값과 출산율의 상관관계

커뮤니티의 글을 우연히 보다 "집값과 출산율?"의 상관성을 물어보는 글이 있었는데요 아주 흥미로웠습니다 ^^대부분의 의견이 출산율저하의 여러가지 원인중 한개일 뿐이지 근본적인 원인은

heisenbugfifty.tistory.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