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교통사고 후유증 대처법

by 미끄럼방지스티커 2024. 2. 23.
반응형

교통사고 후유증 대처법
교통사고 후유증, 경미해도 무시할 수 없는 그 진실



1. 교통사고 후유증, 진정한 위험은 언제 시작되나요?

교통사고는 우리 생활에서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불행한 사건입니다. 특히 큰 사고가 아닌 경우, 우리는 종종 두통, 목 통증, 어깨 통증, 허리 통증 등의 타박상을 가볍게 여기곤 합니다. 그러나 이런 가벼운 부상들이 후에 '교통사고 후유증'을 일으키는 큰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골절이나 디스크 손상이 아닌 경우, X-ray, MRI 등 첨단 장비로 발견되지 않는 '교통사고 후유증'에 대한 대처법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2. 교통사고, 우리 몸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자동차 사고로 우리 몸이 외부 충격을 받게 되면, 우리 몸의 24개 척추, 32개 관절 그리고 주변 근육과 인대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특히 몸의 중심인 척추와 목이 앞뒤로 심하게 흔들리면서 주위의 인대와 근육에 손상이 생길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굳은 근육이 혈관이나 신경까지 압박하여 각종 전신 증상이 나타나기도 합니다.

교통사고 후유증을 의심해야 하는 자가진단(1개 이상)

□  머리가 무겁거나 두통이 있다.
□  어지럽고 속이 메스껍다.
□  목과 어깨가 뻣뻣하고 통증이 있다.
□  손과 팔이 저리고 찌릿한 통증이 있다.
□  턱관절에 통증이 있다.
□  쉽게 피곤하고 밤에 잠들기 어렵다.
□  등과 허리가 결리거나 굽힐 때 통증이 있다.
□  손과 발이 붓는다.
□  구토 증상, 기억력 감퇴 증상이 있다.
□  흐린 날씨나 야간에 통증이 더 심하다.
□  눈이 침침하거나 귀에서 윙하는 소리가 들린다.
□  가슴이 두근거리고 불안하다.



3. 교통사고 후유증, 가장 대표적인 4가지 증상은?

  1. '목, 어깨 통증' : 교통사고 후유증의 가장 흔한 증상은 갑작스러운 충격으로 인해 머리와 목이 앞뒤로 흔들려 목을 둘러싼 근육, 인대, 디스크 등에 손상을 입어 팔 저림, 목, 어깨 등에 통증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2. '허리 통증' : 교통사고 당시 몸은 안전띠에 묶여 있지만, 하체가 앞으로 튕겨 나가면서 요추가 틀어지거나 디스크나 골반 관절에 손상이 되는 경우가 흔합니다.
  3. '두통, 어지럼증' : 교통사고 당시 가벼운 뇌진탕을 겪었다면 뇌진탕 후 증후군을 주의해야 합니다.
  4. '불안증, 수면장애' : 교통사고 후유증은 신체적인 증상뿐 아니라 사고 시 정신적 충격으로 인해 우울증, 불면증, 불안장애 등의 정신적 후유증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위와 같은 후유증이 나타나면 조속히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도록 합니다.

 


4. 교통사고 후유증, 자가진단은 어떻게 할까요?

  • 교통사고 후 디스크탈출 등 수술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한 교통사고 후유증 대부분은 보존적 치료법으로 완화할 수 있습니다. 안정을 취하고 증상을 유발하는 활동을 피하면서 약물치료, 물리치료, 신경치료, 운동 치료 등을 병행합니다.

  • 교통사고 후유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외상이나 증상이 없더라도 사고 직후 정확한 진단을 통해 조기에 후유증의 발생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경미한 교통사고로 3일 이내 증상이 나타나지 않아도 일주일 내에 병원 진료를 받도록 합니다.


교통사고 후유증은 경미해 보여도 무시해서는 안 됩니다. 이런 증상들에 대해 더 자세히 알고, 늦지 않게 적절한 대처를 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