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조영제란?

by 미끄럼방지스티커 2023. 10. 28.
반응형

조영제란?


GE

 

1. 조영제란?

  • 조영제는 영상검사 시 사용되는 약물로, 먹는 조영제와 주사로 사용되는 조영제 등 다양한 종류가 있습니다.
  • CT나 MRI 검사에는 주사제로 정맥 주입하며, 관절조영술 검사의 경우 관절강 내에 직접 주입하기도 합니다.

 

2. 조영제 사용 전 주의사항

  • 과거에는 조영제 부작용 우려로 인해 금식을 시행하기도 했지만, 최근 연구 결과로는 대부분의 경우 금식이 필요하지 않다고 합니다.
  •  조영제 부작용이 있었던 환자는 가능한 조영제를 대체할 수 있는 검사를 선택해야 하며, 부작용이 경미한 경우에는 전처치 후 투약할 수도 있습니다.
  • 신장 기능이 심하게 감소한 경우 대부분의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으며, 필요한 경우 신장 투석을 통해 제거할 수도 있습니다. 또한 조영제가 신장 기능에 부담을 줄 수도 있습니다.
  • 당뇨약(특히 메트포르민계열)을 복용하는 분은 신장 기능이 정상적이라면 복용을 제한할 필요가 없습니다.

 

3. 조영제 부작용

  • 조영제는 몸에서 이물질로 인식되기 때문에 알레르기 반응을 유발할 수 있지만, 검사에 사용되는 약물이기 때문에 부작용 빈도가 적습니다. 그러나 가끔 경미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대부분의 부작용은 간단한 처치나 물 섭취 등으로 해소되지만, 수일 이상 지속되거나 악화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러한 경우 내과 등에서 치료를 받으시면 됩니다.
  • 심각한 부작용(아나필락시스 등)은 드물게 보고되지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조영제 부작용 종류]

  • 급성 부작용: 조영제 투여 후 1시간 이내에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오심, 구토, 두드러기, 가려움증, 혈관부종, 호흡곤란, 의식저하, 심정지, 호흡부전 등이 있습니다.
  • 지연성 부작용: 조영제 투여 후 1시간 이후부터 수일 사이에 발생하는 부작용으로, 주로 피부 증상(가려움증, 발진, 두드러기, 혈관부종, 다형성 홍반, 고정약진, 피부혈관염, 스티븐존슨증후군, 독성표피괴사용해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조영제 부작용 비율]

  • 두드러기: 31%
  • 가려움증: 22%
  • 구토: 8%
  • 발진: 7%
  • 오심: 7%
  • 비염: 4%
  • 어지러움: 3%
  • 기타: 18%

4. 수유시 조영제 사용

최근 유럽과 국내 학회에서는 극소량의 조영제가 수유를 통해 아기에게 전달될 수 있지만, 장을 통해 흡수되는 양은 매우 적어 수유를 중단할 정도는 아니라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임신 중 MRI 조영제(가돌리늄)는 태아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CT 조영제(요오드 조영제 등)는 태아의 갑상선 기능에 영향을 줄 수 있으므로 분만 후 1주일 이내에 갑상선 검사를 권고합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